왜 우리는 예수의 벗이 되어야 하나
상태바
왜 우리는 예수의 벗이 되어야 하나
  • 토머스 머튼
  • 승인 2023.11.26 20: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토머스 머튼의 삶과 거룩함

우리는 하느님의 뜻을 알 수 있는 어떤 체계적이면서도 조직적인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게 된다. 신비롭고 거룩한 그분의 뜻을 어떻게 하면 알 수 있는가? 나의 희생이 하늘에 계신 아버지를 흡족케 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내 의지가 빚어내는 허상일 뿐인지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인간 본성이 악하니 거꾸로만 하자고?

이것은 확실히 쉬운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우리의 주관적인 느낌이나 변덕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사람들은, 예를 들어, “하느님의 뜻”을 감지할 수 있는 거짓되고 과도하게 단순화시킨 방법을 고안하게 될지도 모른다.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말할 수도 있다: “내 뜻은 대체로 죄로 물들었으니 하느님의 뜻에 어긋날 것이다. 그러므로, 그 상황을 고치기 위해 내 자발적인 욕구나 개인적인 관심사와는 항상 반대되는 것을 행하면 확실히 하느님의 뜻을 행하는 것이 될 것이다.” 이런 식의 사고는 잘못된 전제에서 출발한 것으로, 사람의 본성은 항상 악에 더 이끌리게 되어 있어, 자발적인 욕구는 죄스러운 것이라는 마니교도처럼 가정하고 있는 것이다.

인간의 본성은 악하지 않다. 즐거움이 모두 잘못된 것은 아니다. 자발적인 욕구가 모두 이기적인 것은 아니다. 원죄 교리는 인간의 본성이 완전히 부패하였고 인간의 자유의지는 항상 죄로 이끌린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사람은 악마도 천사도 아니다. 사람은 순수한 존재도 못되지만 살과 영의 존재로, 실수와 악에 의해 지배를 받는 존재지만 근본적으로는 진리와 선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사람은 확실히, 죄인이다: 그러나 그의 가슴은 사랑과 은총에 반응한다. 또한 선과 동료 인간의 요구에도 응답할 줄 안다.

사진출처=fineartamerica.com
사진출처=fineartamerica.com

사랑의 계명: 형제애

그리스도교적인 방식은 하느님의 뜻을 추상적인 논리로 알아내지 않는다. 그렇다고 단순히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것도 아니다. 그리스도인은 살아있는 하느님 몸의 한 일원이며, 그가 하느님의 뜻을 인식하는 정도는 그가 같은 몸을 구성하는 다른 일원들과 어느 정도 관계를 맺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

우리 모두가 “서로를 위한 구성원”이기 때문에, 살아 계시며 구원하시는 하느님의 뜻도 서로를 통해 신비롭게 전해진다. 우리는 서로를 필요로 하며, 서로를 완성한다. 하느님의 뜻은 이러한 상호의존성에서 찾을 수 있다.

“몸은 하나이지만 많은 지체를 가지고 있고 몸에 딸린 지체는 많지만 그 모두가 한 몸을 이루는 것처럼 그리스도의 몸도 그러합니다. 유다인이든 그리스인이든 종이든 자유인이든 우리는 모두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몸이 되었고 같은 성령을 받아 마셨습니다. 몸은 한 지체로 된 것이 아니라 많은 지체로 되어 있습니다. 발이 ‘나는 손이 아니니까 몸에 딸리지 않았다’고 말한다 해서 발이 몸의 한 부분이 아니겠습니까? 또 귀가 ‘나는 눈이 아니니까 몸에 딸리지 않았다’고 말한다 해서 귀가 몸의 한 부분이 아니겠습니까? 만일 온 몸이 다 눈이라면 어떻게 들을 수 있겠습니까? 또 온 몸이 다 귀라면 어떻게 냄새를 맡을 수 있겠습니까? 그래서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뜻대로 각각 다른 기능을 가진 여러 지체를 우리의 몸에 두셨습니다. 모든 지체가 다 같은 것이라면 어떻게 몸을 이룰 수 있겠습니까? 그래서 한 몸에 많은 지체가 있는 것입니다. 눈이 손더러 ‘너는 나에게 소용이 없다’고 말할 수도 없습니다”(1코린 12,12-21).

그리스도교적 “방법”이란 그러므로 전례의 준수, 고행의 실천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그리스도인과 그의 형제간의 객관적인 관계가 요구하는 자발적인 사랑이라는 가치의 문제다. 그리고 그리스도인에게는 모든 사람이, 어떤 의미에서, 형제인 것이다. 어떤 이는 실제로 또 가시적으로 그리스도의 몸의 일원이다. 그러나 모든 사람은 잠재적으로 그 몸의 일원이며, 우리 안에 살아계신 하느님의 성령이 비가톨릭 신자나 비그리스도인을 탐탁치않게 여기므로 그들과는 가시적으로나 명백하게, “그리스도 안에서” 진정한 형제가 될 수 없다라고 장담할 수 없다.

하느님의 뜻은 따라서 무엇보다도 사랑의 계명을 통해 그리스도인들에게 명시되고 있다. 우리 주님이 제자들에게 하신 말씀 중 가장 엄숙한 말씀은 누구든지 당신을 사랑하는 사람은 당신이 우리를 사랑하시듯 이웃을 사랑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내가 이 말을 한 것은 내 기쁨을 같이 나누어 너희 마음에 기쁨이 넘치게 하려는 것이다.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 이것이 나의 계명이다. 벗을 위하여 제 목숨을 바치는 것보다 더 큰 사랑은 없다. 내가 명하는 것을 지키면 너희는 나의 벗이 된다. 이제 나는 너희를 종이라고 부르지 않고 벗이라고 부르겠다. 종은 주인이 하는 일을 모른다.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내 아버지에게서 들은 것을 모두 다 알려 주었다. 너희가 나를 택한 것이 아니라 내가 너희를 택하여 내세운 것이다. 그러니 너희는 세상에 나가 언제까지나 썩지 않는 열매를 맺어라. 그러면 아버지께서는 너희가 내 이름으로 구하는 것을 다 들어 주실 것이다. 서로 사랑하여라. 이것이 너희에게 주는 나의 계명이다”(요한 15,11-17).

이것이 주님께서 복음을 통해 우리에게 주신 가장 엄격한 “방법”이다: 즉 모든 사람은 다른 이들의 벗이 되어 줌으로써 그리고 자신의 원수마저 사랑함으로써 그리스도의 진정한 벗이 된다(마태오 5,43-48). 불의와 폭력 앞에서도 희생, 인내와 온유함을 지닐 수 있으려면, 그리스도인들은 다른 이들에게 좀더 관대하고 친절하며, 서로를 향해 모욕적이거나 악의 섞인 말을 해서는 안된다(마태오 5,20-26).

[원문출처] <Life and Holiness>, 토머스 머튼 
[번역문 출처] <참사람되어> 2000년 9월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