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룩함, 영적 완전함 아니다
상태바
거룩함, 영적 완전함 아니다
  • 토머스 머튼
  • 승인 2023.09.25 1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토머스 머튼의 삶과 거룩함/그리스도교의 이상-2: 불완전한 이상-2
사진출처=web.archive.org
사진출처=web.archive.org

인기 있는 종교들이 우리 가운데 “종교가 부활”하고 있다고 사람들에게 외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그 말을 전적으로 믿지 말자! 사람들이 단순히 겁을 먹고 불안함 때문에, 장밋빛 슬로건을 붙들고 늘어지고, 교회로 더 자주 달려가는 것, 고통 받는 영혼을 기분 좋고 인간적인 격언들로 위로하는 것을 보고 이 사회가 “종교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그것은 오히려, 영적으로 병약한 것일 수도 있다. 병의 증세를 깨닫는 것은 확실히 좋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병을 엉터리 약으로 고치는 것을 정당화시킬 수는 없다.

그러므로 거룩함에 대해 단순하고 유아적으로 판단하여 자신을 속이는 일은 없어야 한다.

뿌리가 깊지 않고 사람과 사회의 필요에 깊히 뿌리를 두고 열매를 맺는 관계가 없는, 피상적인 신앙은 결국 실질적인 종교적 의무를 피하게 만든다. 우리 시대는 독실하고, 교회에 열심히 나가며, 심각한 죄(또는 최소한 죄로 인식되는 것)를 짓지 않는 반면, 건설적이거나 선한 일은 거의 하지 않는 사람을 원하는 것이 아니다. 겉으로 보기에 존경 받을만한 것으로 충분치 않다. 더 깊이가 있고 좀더 긍정적인 도덕적 가치가 없이 단순히 외부의 존경을 받는 것은 오히려 그리스도교 믿음에 대한 의혹을 불러올 뿐이다.

20세기 독재체제의 경험으로 우리는 어떤 그리스도인들이 극도로 불의한 사회에서도 잘 살 수 있다는 것을 알았는데, 그것은 그들이 모든 악에 눈을 감아 버리고 아마 적어도 악에 태만하게 동참하며 신심이라는 자신들의 울타리를 친 삶의 공간에만 관심을 두고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른 모든 일로부터는 물러나 있음으로써 가능했던 것이다. 종교를 이유로 내건 그런 초라한 핑계는 무지몽매함과 도덕적 불감증을 가중시켰고, 장기적으로는 모든 나라와 사회 전역에서 그리스도 정신을 죽음에로 끌고 갔다. 이런 성향이 현대 교회의 가장 심각한 문제-노동자 계급의 상실-를 야기시켰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완벽함” 보다 “거룩함”에 관해 얘기해야 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거룩한” 사람은 자신 안에 계신 하느님의 현존과 행동에 의해 성화된 사람이다. 그는 자신 안에서 또한 자신을 통해 그 성스러움을 드러내는 “거룩한 교회”의 삶, 믿음, 자애에 깊이 잠기는 삶을 살기 때문에 “거룩한” 것이다. 그러나 만약 누군가 “완전함”에 더 집중을 한다면 그는 조금 더 이기적인 태도를 갖게 될 수 있다. 그는 자신이 우월한 존재로서 완전하고 모든 덕을 갖추었으며, 다른 사람들과 동떨어져서 자신을 그들과 비교하고 즐거워하면서 자신에 빠지게 되는 위험을 저지를지도 모른다.

그러나 “거룩함”은 “하느님의 거룩한 백성” 안에 이루어지는 친교와 연대의 의미를 담고 있다. “영적인 완전함”이라고 하면 내적인 고행에 대한 지식과 훈련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필요와 욕구는 무시한 채, 격정이 더 이상 그의 순수한 영혼을 방해할 수 없게 된 평정의 상태에 들어선 철학자에게나 어울리는 것이다.

그것은 결코 그리스도교에서 의미하는 거룩함이 아니다.

 

[원문출처] <Life and Holiness>, 토머스 머튼 
[번역문 출처] <참사람되어> 2000년 9월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