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치매, 도시 치매
상태바
시골 치매, 도시 치매
  • 장진희
  • 승인 2022.12.05 10: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난이 살려낸 것들 13 - 진도에서: 시골 치매, 도시 치매
사진출처=pixabay.com
사진출처=pixabay.com

"하이고, 뉘시간디 나한테 이라고 귀한 밥을 다 준다요오?"
몇 십 년 동안 밥상을 받았던 며느리에게 ‘접도 할머니'가 하는 말입니다. 할머니의 표정은 아이처럼 순진무구합니다. 두꺼비 발처럼 두텁고 거친 손의 며느리가 밥상을 내려놓으며 그냥 두터운 웃음을 한번 웃고 맙니다.

할머니는 아침을 먹고 마당에 나와 해바라기를 합니다. 해야 할 일도 없고 일하지 않는다고 다그칠 사람도 없습니다. 제법 따가워지는데도 할머니에게는 지극히 평화로운 햇살입니다.

할머니는 후적후적 걸어나갑니다. 평생 당신의 일터이자 놀이터이자 당신이 아침 먹고 가야 할 유일한 곳이었던 밭으로 발이 알아서 갑니다. 콩밭에서 손이 알아서 지심을 맵니다. 정신을 놓은 치매 할머니가 해놓은 일이라고 믿기 어려울 만큼 잡초 하나 없이 깨끗하게 콩밭을 매놓습니다. 그러고 나서 또 어딘가를 걸어갑니다.

아들 며느리 내외는 기다리다 기다리다 늦은 점심을 먹고 일하러 갔다 왔습니다. 어머니는 해가 다 넘어가는데도 돌아오지 않습니다.

"끙, 또 어디로 가서 헤매고 계신다냐아."
하고 걱정 한마디를 할 무렵 옆 마을 이장님이 어머니를 모시고 옵니다.

"난 또 우리 동네 누구네 집에 오셨다냐 했등만 저녁끝에 본께 골목골목으로 돌아다니시는 것이 당신 집을 못 찾고 계셨던 것이구만이라우...... 만득이 할머니이! 여가 할머니 집이요잉! 내일은 잊어불지 말고 여그 이 대문으로 찾어들어오시쑈잉!"
"이잉! 여가 우리집이여?...... 아따, 집 차암 조옿네."

할머니는 오늘도 그렇게 당신 일을 마치시고, 아무것도 아무도 붙잡는 이 없는 산책을 다니시다 집에 돌아왔습니다. 그제는 마을 끝 병삼이네 할아버지 손을 잡고, 어제는 강숙이 할머니 손을 잡고, 또 오늘은 옆마을 이장님 손을 잡고 집에 돌아온 것입니다.

언젠가 명절이라고 도시에서 아들 며느리 딸 사위 손주들까지 다 와서 저희들끼리 밖에 놀러 나가면서, 자물쇠 같은 건 채워본 적도 없는 방문에 망치로 못을 쾅쾅 박아서 끈으로 묶어 놓고 할머니를 방에 두고 간 적이 있습니다. 뒤늦게 인사하러 온 큰사위가 그 꼴을 보고 한바탕 난리를 치는 바람에 다시는 할머니를 혼자 방에 두고 자물쇠를 채우는 일 같은 건 하지 않습니다.

그런 농투사니 큰사위를 보면 할머니는 소녀처럼 고운 미소를 띄며 묻습니다.
"귀하신 분 같은디, 뉘시요오? 어디서 오겠소?"
"예에, 어무니. 사웁니다. 죽림 사는 큰사우요!"
"지가 요새는 통 정신이 없어서 뭘 기억을 못 한께...... 지송허요."
하고는 허리를 구십도로 굽혀 아주 공손히도 인사를 합니다.
"허어! 예에, 어무니 신간이 질로 편하요. 인자 다 잊어불고 이라고 사시믄 쓰것소. 어짜든지 건강하니 오래만 사시쑈잉."
(진도에서는 시어머니도 어무니고 장모님도 어무니입니다. 시아버지도 아부지고 장인어른도 아부지입니다.)

어느 때 보니 할머니는 마당에 앉아 콩고르기를 하고 있었습니다. 몇 말이나 되는 그 많은 콩을 종일 앉아 다 골라 놓았습니다. 밥숟가락 놓는 날까지 할머니는 한 일손을 단단히 하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도시에 사는 친구 어머니의 정신이 무너지기 시작했습니다. 친구의 삶도 무너지기 시작합니다. 일찌감치 남편 여의고 갈치 장사 해가며 오남매를 키워놨는데 잘나가는 자식일수록 홀어머니 모시기가 어렵습니다. 어머니는 평생 살아왔던 선창가 사람들과 혼자 살다 점점 정신을 놓을 때가 잦아집니다.

잘나가는 맏아들이 어쩔 수 없이 어머니를 서울로 모십니다. 다른 정신은 멀쩡한데 온갖 노여움만 펄펄 날뛰는 시어머니를 도저히 감당 못하고 어머니는 점점 더 아들 며느리 원망 소리 드높습니다. 막내딸이라고는 해도 초등학교 다닐 때부터 어머니를 대신해서 밥 하고 반찬 하고 김장 하고...... 딸이라는 이유로 온갖 설움을 겪으며 설움인 줄도 모르고 그저 홀어머니가 시키는 대로만 하고 살았던 바리데기 같은 막내딸인 친구가 보다 못해 어머니를 모십니다.

부부가 같이 나서지 않으면 애들 교육비며 뭐며 허리가 휘는 도시생활, 친구는 아이들 키울 때 애들 유치원 보내듯 어머니를 노인학교에 보내놓고 일을 다닙니다. 노인학교에서도 하루가 멀다 하고 말썽입니다. 당신 밥은 남이 먹다 남긴 걸 주었다고 밥상을 엎고, 버스를 제일 먼저 태워주지 않았다고 패악을 부려 동료노인들과 돌보는 사람들 기가 막히게 만들어 놓습니다.

명절 때면 시댁에 가야 하는 친구는 큰오빠에게 며칠이라도 어머니를 보내놓고 잠깐 숨을 돌립니다. 어머니는 큰아들네, 작은아들네...... 며칠 견디는 것만으로도 당장에 그 집이 불행의 구렁텅이로 빠져버려서, 자식들 집을 전전하다 도로 막내딸네로 옵니다. 어머니는 그럴수록 점점 심해집니다.

친구는 도저히 어떻게 해볼 수 없는 지경에 이르러 하는 수 없이 어머니를 스물 몇 평 아파트에 두고 밖에서 문을 잠그고 일하러 갑니다. 당신 혼자 밖에 나갔다가 경비실에서 파출소에서 겨우 찾아온 일을 몇 번 겪고 난 뒤입니다. 그러다 혼자서 화장실에서 미끄러져서 허리를 다치는 바람에 거동을 할 수 없어 병원에 모셨는데, 병원에서도 제발 나가달라 합니다. 눈에 보이는 모든 사람이 당신을 무시하고 대접해주지 않는 천하에 나쁜 년놈들뿐입니다.

그 첫 번째 대상이 막내딸입니다. 정작 맏아들은 어머니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데 늘 그리워하고 사랑하는 자식은 맏아들뿐입니다. 당신을 감당하고 있는 바리데기 딸은 여전히 사랑할 가치도 없어 마음 한 자락 내주지 않습니다. 막내딸이 살고 있는 집조차 당신 집인데 같이 살게 해주는 은혜도 모르는 배은망덕한 딸이라고 애먼 소리를 합니다.

친구는 제 평생의 설움이 새삼스레 밀려옵니다. 치매환자여서 그렇다고 백 번 마음을 다잡아도 너무도 생생하고 또렷하게, 평생 막내딸에게 했던 모질고 독한 마음만 골라서 보여줍니다. 친구는 통닭 한 마리를 허겁지겁 먹어치우는 어머니에 대한 안쓰러움과 설움과 미움이 뒤섞여 하루가 멀다 하고 눈이 퉁퉁 부어 있습니다.

도시에서 치매에 걸린 노인들은 그야말로 처치곤란입니다. 차라리 어서 돌아가시기 전까지는 당신과 가족이 그 고통의 구렁텅이에서 빠져나올 방법이 없습니다.

시골에서 치매 노인은 그냥 도로 아이가 된 생명 하나입니다. 밥 먹여주고 잘 챙겨 재워주면 마음이 짠하기는 하지만 아직 살아 있음에 웃을 일도 있고 그 어른 자리가 있습니다.

도시에서는 맞벌이 부부에게 데리고 일 다닐 수도 없는 아이 키우는 일이 큰 짐입니다. 역시 맞벌이 형태인 시골에서는 데리고 다니며 논일도 하고 밭일도 합니다. 동네 아이들과 어울려 알아서 놀게 놔둘 수도 있습니다. 그 노는 아이들은 동네 할머니 할아버지 들이 알아서 챙겨줍니다. 위험한 일이나 잃어버릴 일이 거의 없습니다.

치매 노인도 마찬가지입니다. 시골 치매 노인은 나름대로 평생 당신이 해왔던 일을 하기도 하고, 사라져 봐야 평생 당신이 다녔던 동네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때 되면 누군가가 밥도 챙겨주고 집에 데려다 줍니다. 도시처럼 낯선 거리, 낯선 사람들 틈에서 잃어버릴 염려, 그 영혼이 공포에 떠는 일은 없습니다. 도시에서 치매 노인들이 더욱 끔찍한 상태가 되는 것은 그 영혼의 공포 때문일 것입니다.

'접도 할머니'는 아주 어린 나이에 조실부모하고 해남 사는 큰아버지 집에서 자랐답니다. 토착민들의 삶과는 별개의 삶을 살았던 한양 사람들의 유배지 진도에서도 배를 타고 건너갔던 접도로 할머니는 시집 왔습니다. 북향(北向)의 유배지 마을 원다리로 시집 온 뒤로 해남 쪽으로는 발걸음도 하지 않았다니 그 어린 시절의 삶이 어떠했을지 살아보지 않은 사람은 상상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또 그렇게 서럽고 쓰라린 인생이 시집 와서라고 얼마나 호강했을지...... 아들딸 누구 하나 출세한 인생이 없는 걸 보면 구비 구비 가난이와 고난이를 친구하고 살았을 것입니다.

큰사위의 얘기를 들어보면 워낙에 깔끔하고 야무진 성격이라 정신을 놓았다고는 해도 옷매무새 하나 흐트러뜨리지 않고 당신 갈무리를 하신답니다. 가난과 고난 속에서 나름대로 품위를 잃지 않기 위해 살았던 당신 평생의 긴장과 단도리.

치매를 앓는 접도 할머니의 얼굴이 앓기 전보다 훨씬 아이처럼 맑고 평화롭습니다. 표정은 영혼의 얼굴입니다. 접도 할머니의 경우 당신의 영혼이 이승에서 한풀이를 하고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이승에서 한풀이를 하지 못하고 저승으로 가면 그 원혼이 자손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할머니는 치매를 앓으면서 태어나서 처음으로 마음 편하게, 아무에게도 간섭이나 강요를 받지 않고, 가장 자유로운 영혼으로 떠돌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평생 단 한번도 해보지 못한 아이 노릇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람을 몸과 마음, 정신, 영혼, 이런 것들의 결합체로 본다면, 치매는 이승에서 다 못한 노릇을 하고자 하는, 그리하여 원혼이 되지 않도록 영혼이 이승에서 한을 푸는 과정이 아닐까요? 접도 할머니가 인생을 살아올 때 '진도아리랑'을 자주 불렀으면 좋았을 것을. 그렇게 풀면서 살았으면 좋았을 것을...... 아리랑조차 부를 수 없었던 영혼이 한을 풀고 이승을 떠나려는 마지막 노력이 치매가 아닐까요?

항구도시에서 살았던 친구 어머니의 경우 살아생전 맺힌 한, 그것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놓을 수도 없었던 욕망의 원한이 역시 터져 나오는 것이겠지요. 좋은 집에서 맛있는 것을 먹으며 대접 받고 살고 싶은 욕망의 한, 그런 방식으로는 절대로 풀어질 수 없는 한, 오히려 점점 더 쌓여 갈 한.

한 살이라도 젊었을 때 자기 안에 있는 욕망과 한을 스스로 들여다보고 풀어주고 맑히면서 살아야겠습니다.

 

장진희
돈 안 벌고 안 쓰고 안 움직이고
땅에서 줏어먹고 살고 싶은 사람.
세상에 떠밀려 길 위에 나섰다.
장터로 마을회관으로.
무주에서 진도, 지금은 곡성 죽곡 보성강변 마을에서 살고 있다.

 

유튜브 강의/한상봉TV-가톨릭일꾼
https://www.youtube.com/@tv-110

종이신문 <가톨릭일꾼>(무료) 정기구독 신청하기 
http://www.catholicworker.kr/com/kd.html

도로시데이영성센터-가톨릭일꾼 후원하기
https://v3.ngocms.co.kr/system/member_signup/join_option_select_03.html?id=hva8204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