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의 안부를 묻는다
상태바
신앙의 안부를 묻는다
  • 한상봉 편집장
  • 승인 2022.05.16 19:45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직 이른 공부겠지만, 얼마 전에 후배가 찾아 와 분도출판사에서 펴낸 책 한 권을 들이밀었는데, 제목이 <노년을 위한 마음공부>였다. 피델리스 루페르트라는 뮌스터슈바르작 수도원 아빠스가 지은 책이다. 공연히 내 신앙의 안부를 묻는 구절이 있었다. 이 아빠스는 “죽음을 날마다 눈앞에 두라”는 베네딕토의 <수도규칙> 4장 47절을 소개하며, “수도자는 영원한 생명을 갈망하고, 죽음은 그 전에 통과해야 하는 문임을 안다”고 했다.

허나 이 말보다 더 가슴을 아리게 하는 말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서 조시마 장로가 죽기 전에 남긴 말이다. "나는 매일 해가 떠오르는 것을 축복한다.... 그러나 나는 일몰을 더 사랑할 준비를 하고 있다.... 내 삶이 곧 끝날 것임을 알고 있고 듣고 있다. 그러나 남아 있는 날마다 지상의 삶이 새롭고, 무한하고, 알 수 없는, 그러나 가까이 다가와 있는 다음의 삶과 연결되어 있음을 느낀다. 그 가까움이 내 영혼을 기쁨으로 전율케 하고, 정신을 비추고, 마음에 행복한 눈물을 흘리게 한다."

 

"나는 일몰을 더 사랑할 준비를 하고 있다." 조시마 장로가 죽기 전에 남긴 말이다. (사진출처=pixabay.com)
"나는 일몰을 더 사랑할 준비를 하고 있다." 조시마 장로가 죽기 전에 남긴 말이다. (사진출처=pixabay.com)

그 행복한 눈물은 누구에게나 허락된 눈물이 아니다. 그분을 생각할 때면 눈시울이 뜨겁게 젖어오는 것을 느끼는 노사제의 신앙을 온전히 드러내는 눈물이다. 장 발장에게 베푼 것처럼, 내 피부 바깥에 놓여 있는 타인을 따지지 말고 사랑하고, 사랑하고, 거듭 사랑하라고 이르신 스승처럼 사랑한 이가 얻어 누리는 값진 은총이다. 이런 신앙, 따라잡기 어렵다. 거듭 새삼 하느님, 예수님, 마리아, 요셉을 입에 달고 산다고 오는 신앙도 아니다. 그런 게 신앙이라면, 레지오마리애 단원들이나 수도자, 성직자, 주교와 교황부터 순서대로 천상에 오르시겠지, 생각한다.

프란치스코 교종은 우리 시대의 문제를 “무신론이 아니라 우상숭배”라 했다. 결국 우상숭배를 ‘실천적 무신론’으로 고발하고 있는 셈이다. 입술로는 ‘하느님’이라 부르고, 눈길로는 ‘자본의 우상’을 흠모하는 ‘신종’ 무신론이다. 먹고 사는 문제를 외면할 수 없지만, “왜 사냐고?” 스스로 묻지 않는 삶이다. 누군가 “왜 사냐?”고 물어도 어느 시인처럼 “웃지요”라 답하면 그마저 귀여운 응답이다. 아예 사는 데 지쳐서 반응 없는 신앙이 우리 신앙의 현주소다. 어디선가 우리는 그만 신앙을 잃어버렸다. 가톨릭 가정에서 태어났다는 언론인 스벤 쿤트제는 이렇게 말한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나는 신앙을 잃어버렸다. 화창한 날 지하철 안에 두고 내리고서는 결코 아쉬워하지 않는 우산 같다"고.

이럴 때 "오늘을 마지막 날인 것처럼 살라"고 한 은수자 사막의 안토니오의 말을 떠올린다고 답이 되지 않는다. 죽음의 공포에 맞서는 진정제처럼 모든 집착을 끊어버릴 만한 신앙이란 하루아침에 생겨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매일매일 하루하루 그분과 동행하지 않고서야 얻을 수 없는 게 신앙이기 때문이다. 사랑이 습관이 될 때까지 그분은 우리를 기다려 주시겠지만, 늘 사랑은 멀고 욕심은 가깝다.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이란 책이 있다. 여기서 최진석 교수는 <도덕경> 15장을 해설하면서 멋진 말을 했다. "코끼리가 살얼음 밟듯이 행동하라"는 것이다. "옛날에 도를 잘 실천하는 자는 미묘하고 현통하며 그 깊이를 알 수 없다"고 했다. 내 뼈를 갈라 보아도, 내 살을 후벼 보아도 자본주의는 치밀하고 섬세하게 나를 장악하고 있다. 요람에서 무덤까지 ‘돈’이 지배하는 세상에 나는 틀림없이 살고 있다. 오래전에 정부는 기업의 하수가 되었고, 고객은 ‘거지같은 왕’이다. 친절하게 ‘지배하는’ 자본주의를 넘어서는 신앙은 그래서 그만큼 치밀하고 섬세해야 한다.

이 책에서 최진석 교수가 흥미 있는 이야기 한 자락을 꺼냈다. 중국인은 엉큼하고 음흉해서 속내를 알 수 없고, 한국인은 직설적이고 솔직해서 속내가 뻔하게 들여다 보인다는 것이다. 한국 가정에서 식사 초대를 받으면 그날 준비한 음식이 한 상에 모두 올라가지만, 중국인에게 식사 초대를 받으면, 밥상에 앉아도 그 다음에 어떤 음식이 나올지 예측할 수 없다는 거다. 경회루 같은 한국식 정원은 한번에 정원 전체의 풍광을 가늠할 수 있지만, 두보초당(杜甫草堂) 같은 중국식 정원은 다음 모퉁이를 돌아서면 어떤 풍경이 나올지 도무지 예측할 수 없다고 한다.

인생이 그러한 것처럼, 자본주의에 침식된 우리 삶의 고비마다 나의 신앙이 어떤 도전에 직면하게 될 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가톨릭일꾼운동의 공동창립자 피터 모린은 ‘선해지기 쉬운 사회’를 꿈꾸었지만, 현실은 ‘악해지기 쉬운 사회’에 가깝다. 허방은 어디나 있고, 언제나 알아채기 어렵다. 그래서 고해실에서 "이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를 운운하는 것은 참으로 실감나는 고백이다. 그래서 노자는 전한다. 도를 몸에 익힌 이들은 코끼리가 살얼음이 낀 개천을 건너는 것처럼 신중하고 조심스럽다고.

 

그래서 루이제 린저가 소설 <미리암>에서 마리아 막달레나의 다른 이름인 주인공 ‘미리암’이 소녀 시절 처음 나자렛 예수를 만났을 때 어떤 심경이었는지 살필 필요가 있다.

"내가 그 소년을 만난 그날부터 그리고 훨씬 후에도, 나는 수없이 내 자신에게 그 이유를 묻곤 했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그는 누구였으며, 그가 그 무엇을 지니고 있었기에 그와 한 번 만난 사람은 그를 결코 잊지 못했는가? 사람들은 그를 사랑할 수도 있었고, 미워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그를 보고 그냥 지나칠 수는 없었다. 그건 불가능했다. 그는 단지 거기 있을 뿐이었고, 다름 아닌 바로 그 자신이었다. 그리고 그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었다. 나의 이 사랑은 샘물에 비교될 수 있었다. 어떤 한 순간 터져 나온 이 사랑은 끊임없이 땅 속을 흐르면서 나의 삶의 방향을 결정했다. 그건 결코 빠져나올 수 없는, 단단히 매인 끈과 같은 것이었다."

그 첫사랑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신중한 신앙이다. 그 사랑의 순정함은 맹목적 신앙이나 유치한 사랑과 다르다. 그분의 뜻을 되묻고 확인하며, 조심스럽게 따라 사는 삶이다. 그런 사랑이 우리를 구원하지 않을까,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든 여럿이 가든.

 

* 이 칼럼은 <가톨릭뉴스 지금여기>에 실었던 글입니다.

한상봉 이시도로
<도로시데이 영성센터> 코디네이터
<가톨릭일꾼> 편집장

 

도로시데이영성센터-가톨릭일꾼 후원하기
https://v3.ngocms.co.kr/system/member_signup/join_option_select_03.html?id=hva82041

종이신문 가톨릭일꾼(무료) 정기구독 신청하기 
http://www.catholicworker.kr/com/kd.html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장소화 2022-06-03 07:52:22
잘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