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나르도 보프의 교회 민주화 : 덜 군주제적이고 더 참여적인 교회
상태바
레오나르도 보프의 교회 민주화 : 덜 군주제적이고 더 참여적인 교회
  • 한상봉
  • 승인 2018.11.13 00: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행동하는 교황, 파파 프란치스코-34

교회권력의 분산을 통한 ‘교회 민주주의’ 문제에 유난히 관심을 갖고 연구했던 해방신학자가 있다. 브라질의 프란치스코회 사제였던 레오나르도 보프(Lenardo Boff) 신부다. 그는 교회가 세상에 들이대는 잣대를 교회 안에도 내밀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해 왔다. 좀 더 민주적인 사회에서 공동선이 실현되기를 갈망한다면, 교회도 민주적 방식을 고민해야 한다. 

1984년 당시 교황청 신앙교리성 장관이었던 요제프 라칭거 추기경이 자신의 제자였던 레오나르도 보프 신부를 로마로 소환해 심문한 것은 한 권의 책, <교회, 카리스마와 권력: 해방신학과 제도적 교회>(Church: Charism and Power) 때문이었다.

교황의 주교임명, 150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1968년 메데인에서 열린 라틴아메리카 주교회의가 해방신학을 승인하고 1979년 푸에블라 주교회의에서 이를 재확인한 뒤 교황청은 줄곧 해방신학을 경계했다. 그런데 로마 중심주의를 회복하려던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통치하던 교황청 입장에서 가장 곤혹스러운 것은 보프의 ‘교회론’이었다. 보프는 군주제적 제도교회가 아닌 카리스마에 이끌리는 민중교회를 희망했기 때문이다.

보프는 “교회는 거룩하면서도 항상 정화되어야 한다.”는 <교회헌장>의 내용을 인용하며 “과거의 교회가 로마와 중세의 구조를 따른 것처럼, 현대 교회는 높아지는 인권의식에 걸맞은 시민사회의 구조를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보프는 ‘교회의 민주화’라고 불렀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예수의 삶과 행적에 대한 기본 교리, 그리고 이 안에 담긴 도덕적 명령, 교회의 성사적 측면처럼 본질에 해당하는 것은 변할 수 없겠지만, 동시에 교회는 평신도를 포함한 많은 이들이 참여하는 자유롭고 형제애 넘치는 신앙공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호소했다.

보프는 먼저 가톨릭교회의 중앙 집중적 의사 결정 방법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톨릭교회는 교황부터 주교, 사제에 이르기까지 교회 내 행정 책임자를 선출할 때 하느님 백성인 평신도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없는 ‘수직적 구조’라는 지적이다. 보프는 교구장 등 교회 지도자는 교황과 같은 최고 교회권력에 의해서만 임명되고, 그렇게 임명된 교구장이 지역교회에서 군림하면서 전문성과 신학적 자질을 지닌 평신도들을 주변인으로 내몰고 있다고 비판한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Aurelius 354~430)와 바실리우스,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등 고대 교회의 주교들은 대부분 평신도 신분이었다. 교구민들이 덕망 높은 그들을 추대해 주교로 삼은 전통이 있었지만, 비오 9세 교황이 소집한 제1차 바티칸 공의회(1869-1870년) 이후 주교 임명은 교황의 고유 권한으로 완전히 바뀌었다.

 

레오나르도 보프

교회의 권위주의 체제, 하느님이 정한 것 아니다

보프는 사제들조차도 교구 내 중대한 결정을 내릴 때 의견을 내놓을 수 없고, 사제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단체가 결성되더라도 고위 성직자들의 의심과 압력으로 해체당해 왔다고 말했다. 권력이 있는 곳에는 언제나 ‘권력 남용’의 위험이 있기 마련이다. 비록 교황과 주교 등 “교회권력자의 대다수는 훌륭한 신앙인이요 깨끗한 양심과 흠 없는 인격을 지닌 자들”이지만, 문제의 본질은 억압적 관행을 생산하는 ‘교회 구조’에 있다.

가톨릭교회는 모든 의사결정 권한이 교황과 주교와 사제에게 집중된 권위주의적 체제다. 이러한 권력 구조는 “하느님께서 정하신 것”으로 간주되고 신자들은 이를 신앙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요받는다. 그러나 교회의 권력 구조는 수세기에 걸쳐 역사적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로마제국과 봉건제의 권력 구조를 모방한 것이다. 교황의 황금 삼중관처럼 교회의 관습과 명칭, 표현이나 상징들은 모두 여기서 온 것이다. 이런 구조들이 현대인들의 인권의식과 마찰을 빚고 있다는 게 보프의 판단이다.

계급사회의 계급교회

보프에 의하면, 로마-중세적 권위 형태는 교황-주교-사제-수도자-평신도 등으로 이어지는 ‘성직자’ 중심의 계급 제도다. 특히 최고 권력을 행사하는 교황과 주교들은 종신직이다. 그들이 ‘성무’를 통해 관철하려는 것이 ‘법’이 되고, 평신도 등 하위 계급은 항상 상위 계급에게 순명을 바쳐야 한다. 평신도는 수도자에게, 수도자는 사제에게, 사제들은 주교에게, 주교들은 교황에게 순종을 요구받는다. 

이러한 신성하고 우주적인 교계 제도는 하느님의 뜻으로 간주되며, 교회에서 지위가 높을수록 하느님과 가까운 존재이므로, 고위 성직자들은 그만큼 하느님의 권능도 많이 나누어 갖게 된다. 여기서 하위 계급이 상위 계급에 순명하는 것은 곧 하느님께 순명하는 것이라는 식의 암묵적인 교리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교계 제도는 어떠한 비판도 용납되지 않는 성스러운 질서로 성화된다.

만일 하위 계급이 이 제도에 이의를 제기하면 이는 우주의 질서에 반역하는 셈이며, 권력 구조의 변화를 꾀하는 것은 이러한 신성한 권력 구조를 만든 하느님께 도전하는 행위로 간주된다. 교회질서의 개혁은 오직 하느님께 가까운 상위 계급, 그중에서도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교회와 세상에 대한 통치권을 가진 교황만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가톨릭교회는 그동안 이 구조에 만족해 왔으며, 사회적으로 엄청난 권력 구조의 변화를 일으킨 계몽주의와 프랑스 대혁명 등 근대 사회의 대변혁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보프는 “교회가 변호한 것은 하느님의 권위라기보다는 오히려 그 권위를 중심으로 생겨난 역사적 부산물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혁명적인 이유는 이러한 권위적인 신학을 면밀히 분석하고, 교회를 덜 군주제적이고 더 참여적인 교회로 가는 길을 열었기 때문이다.

[출처] <행동하는 교황, 파파 프란치스코, 한상봉, 다섯수레, 2014

한상봉 이시도로
<가톨릭일꾼> 편집장
<도로시데이 영성센터> 코디네이터


<가톨릭일꾼> 종이신문을 구독 신청하려면 아래 배너를 클릭하세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